키다리아저씨01 2022. 7. 27. 10:20

Git

Git이란 버전 컨트롤 시스템 중에 하나로 작은 프로젝트부터 큰 프로젝트까지 매우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. 그 이유는 시간과 차원에 제약을 받지 않아서인데 한 프로젝트에서 수정하고 싶을 때 그 부분으로 돌아가서 수정할 수 있고 또는 한 프로젝트에서 여러가지의 버전을 만들어 개발한 후 다시 통합시킬 수도 있다는 점에서 협업하여 개발할 때는 Git과 같은 툴이 필수 적이다.

Github

Github는 우리가 만든 프로젝트를 올릴 수 있고 이를 Git을 통해 받아(Pull)와 버전을 올릴 수 있다. 대게는 오픈소스는 무상으로 서비스를 지원한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프로젝트나 학습을 위해 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.

Git과 Github 연결 요약도

Git에서는 local Github는 서버저장소로 나뉜다.

Git과 Github 연결 방법

Git은 기본적으로 CLI화면에서 많이 사용하여 직접 명령어를 입력해야한다.

Git 명령어

  1. 저장소 만들기 - 로컬 Git 저장소 설정
// 폴더 생성 후 폴더가 있는 directory로 들어가야 함
git init 

-- 이후 해당 폴더에 .git이라는 폴더 생성 Git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.

main branch
기본 브랜치 설정을 확인후 master이면 아래코드를 이용해 브랜치를 main으로 변경해 주자. (최근 main으로 쓰는 추세)

git branch -M main 
  1. 현재 상태 확인 - git status
git status

-- 현재 브랜치의 커밋 상태, 작업중 파일 상태를 확인 하고 추적하지 않는 파일(수정된 파일)이 존재하는 지 확인한다.

이후 git 작업에 사용할 username과 email을 설정한다.

$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Your Name"
$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you@example.com
  1. 원격 저장소 저장 - git push
git remote add origin <repository>
git push -u origin main

-- mian 브랜치에 깃허브를 origin으로 설정후 로컬저장소의 모든 커밋을 푸시한다. -u를 이용해 원격 저장소 이름을 지정하지 않고 git push가 가능하다.

  1. 새 커밋 Push
    로컬에서 새 파일을 만든 후 이를 커밋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github에 파일이 추가된다.
git push

--- 이후 추가로 더 공부하여 알게되는 점은 수정[22/07/27]
--- 요약도 추가[22/07/28]
<출처>https://www.yalco.kr/@git-github/4-3/